오픈AI의 챗GPT 출시 이후 인공지능(AI)의 활용이 전 세계 산업 분야로 크게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따른 각종 부작용들이 속속 드러나면서 인공지능을 규제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움직임 또한 빨라지고 있다.
인공지능 규제를 위해 적극적인 행보에 나서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로는 유럽연합(EU)과 미국, 영국 등 인공지능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국가들을 들 수 있는데 이들 국가들은 저마다 인공지능 규제를 위한 법적, 행정적 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지난해 10월 조 바이든(Joe Biden) 미국 대통령이 인공지능 안전과 보안에 대한 기준을 정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전 세계로 번지는 AI 규제 행보…아시아 국가도 동참
이처럼 인공지능의 규제를 위한 세계 각국의 대응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아시아 국가 중 하나인 인도 정부가 인공지능 기술 기업들을 대상으로 규제와 관련된 권고안을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
해외 블록체인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새로운 인공지능 도구를 개발하는 기술 기업들에게 출시 전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권고를 발표했다.
지난 3월 1일 인도 IT 부처가 발표한 권고에 따르면 이 승인은 반드시 신뢰할 수 없는 인공지능 도구가 공개되기 전에 부여돼야 하며 이러한 도구는 질의에 부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는 라벨을 붙여야 한다.
이어 IT부처는 “인도 인터넷 사용자의 가용성은 인도 정부의 명시적인 허가를 받아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권고는 플랫폼들에게 올해 여름 총선이 예상됨에 따라 그들의 도구가 ‘선거 과정의 진실성을 위협’하지 않도록 할 것을 요청했다.
이 새로운 권고는 인도의 고위 장관들 중 한 명이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가 일부 사람들에 의해 ‘파시스트’로 묘사되었다고 말하는 것을 포함해 구글과 인공지능 도구 제미니의 부정확하거나 편향된 대응을 지적한 직후에 나왔다.
이와 관련해 구글은 제미니의 단점에 대해 사과하며 특히 현재의 사회적 주제에 대해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권 IT 강국 다수 포진…향후 여타 국가 규제 행보 관심
라지브 찬드라세카르(Rajeev Chandrasekhar) 인도 IT부 차관은 X에 올린 글을 통해 “안전과 신뢰는 플랫폼의 법적 의무”라며 “문제가 발생한 후 ‘죄송합니다’라고 해도 법에서 면제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인도 정부는 다가오는 선거를 앞두고 인공지능이 만들어내는 딥페이크의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규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는 미국의 규제 당국도 시행한 조치다.
그러나 인도 관리들은 인공지능 권고와 관련해 “인도가 기술 분야의 선두 주자임에도 이 리더십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규제하는 것은 범죄가 될 것”이라는 인도 기술 업계의 반발에 직면했다.
라지브 찬드라세카르 차관은 X에 올린 후속 게시물에서 이러한 ‘소음과 혼란’에 대응하여 불법 콘텐츠를 가능하게 하거나 직접 출력하는 플랫폼에 대해 반드시 ‘법적 결과’가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도는 인공지능을 믿고 있으며 인재뿐만 아니라 디지털 및 혁신 생태계 확장의 일환으로 모든 것을 하고 있다”며 “인공지능에 대한 인도의 야망과 인터넷 사용자들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이분법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라지브 찬드라세카르 차관은 또한 이 권고가 “실험실 수준이거나 검증되지 않은 인공지능 플랫폼을 공용 인터넷에 배포하는 사람들에게 인도 법률에 따른 의무의 인식과 결과와 자신과 사용자를 가장 잘 보호하는 방법을 인식하도록 조언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고 분명히 밝혔다.
학계와 전문가들은 이번 인도 정부의 권고안 발표와 관련해 아시아권 국가 중 선제적으로 인공지능 규제에 나섰다는 사실에 의미를 부여하는 한편 향후 여타 아시아 국가들의 규제 조치 시행에 도미노 현상이 일어날지 여부에 대해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아시아권에는 인도 외에도 한국과 일본, 중국, 대만, 싱가포르 등 IT 산업과 기술에서 일가를 이루고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국가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계와 전문가들은 이번 인도 정부의 인공지능 규제를 위한 권고안 발표가 기폭제로 작용해 지금껏 유럽연합과 미국, 영국 등 인공지능 개발과 활용의 선두주자였던 국가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오던 인공지능 규제 법안 마련 등 규제 조치의 시행이 빠른 시간 내에 아시아 국가에서도 실시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뉴스드림]
관련기사
- [이슈추적] "AI 딥페이크 퇴치하자"…전 세계 전문가들 뭉쳤다
- [이슈분석] 점점 똑똑해지는 AI…"규제·제어 가능할까?"
- [이슈분석] 유럽연합 'AI 부작용' 막는 선봉장으로 우뚝
- [이슈분석] 美 행정부 'AI 안전 개발' 고삐 더 죈다
- [심층분석] "AI법 입법하자"… EU 회원국들 힘 모았다
- [이슈분석] "선거개입은 NO"…AI 간섭 방지에 기술기업 팔 걷었다
- [이슈추적] AI 부작용·위험성 규제, 유엔도 나섰다
- [이슈추적] 美 정부, AI 위험에 국민 보호 적극 나선다
- [이슈추적]"안전한 AI 개발하자"… 美·英 맞손 잡았다
- [이슈추적] AI 국가 안보 위협 방어에…美 정부·기술 기업 뭉쳤다
- [이슈추적] AI 활용 늘수록…개인정보 보호는 '빨간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