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거대 언어 모델 챗GPT를 출시한 이후 인공지능(AI)은 전 세계 기업들과 사용자들로부터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당장 각종 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 사용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양면의 칼날’과도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어 산업 생산성의 향상을 통해 기술 기업들에게 막대한 수익성을 제공하고 세계 디지털 경제의 번영 및 확장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 이면에 비윤리적 이용 또는 개인 정보 유출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드러나고 있다.
◆거세지는 AI 규제 촉구 호소…UN도 해결 위한 본격 행보 나서
특히 최근에는 인공지능 활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관련 단체들과 전문가들은 물론 인공지능을 선도하고 있는 국가들에서조차 인공지능을 규제하기 위한 각종 법안 제정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인공지능의 규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엔(UN)이 인공지능의 글로벌 규제를 위한 자문위원회를 구성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관련 기업들과 사용자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해외 블록체인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안토니오 구테흐스(Antonio Guterres)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10월 26일 인공지능(AI)의 글로벌 규제와 관련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총 39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유엔의 발표에 따르면 자문위원회는 기술 업계 리더들과 스페인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이르는 정부 대표자들 및 미국, 러시아 및 일본 등의 국가에서 온 학자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들로 구성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술기업의 임원으로는 소니(Sony)의 최고 기술 책임자인 기타노 히로아키(Kitano Hiroaki)와 오픈AI의 CTO 나타샤 크램튼(Natasha Crampton), 마이크로소프트의 최고 책임 AI 책임자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6개 대륙 출신의 대표자들은 미국에 기반을 둔 인공지능 전문가인 빌라스 다르(Vilas Dhar)에서부터 중국 출신의 이쩡(Yi Zeng) 교수, 이집트의 변호사 모하메드 파라하트(Mohamed Farahat)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물들이 포진한다.
◆글로벌 규제 가이드라인 제정 기대…법적 강제성 필요 지적도
안토니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공식 성명을 통해 인공지능의 심오한 긍정적인 영향은 충분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수많은 인류 종말의 날 시나리오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인공지능의 악의적인 사용이 제도에 대한 신뢰를 훼손시키고 사회적 결속력을 약화시키며 민주주의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명백하다”고 말했다.
잘 알려진 대로 지난해 오픈AI가 챗GPT를 출시한 이후 이 혁신적인 새로운 기술에 대한 사용자들과 기업들의 호기심과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면서 인공지능 연구자들은 사회적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와 동시에 수많은 세계 각국의 정부들이 인공지능의 확산을 관리하기 위한 법안을 제정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의 국제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유엔은 연말까지 최초로 제안된 권고안을 발표할 계획이며 2024년 여름에 포괄적인 권고안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유엔은 지금 당면한 우선순위는 잠재적인 인공지능의 관련 위험과 도전에 대한 전 세계적인 과학적 합의를 구축하는 동시에 인공지능 거버넌스에 대한 글로벌 협업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유엔의 인공지능 글로벌 규제 관련 자문위원회의 출범은 챗GPT 출시와 함께 인공지능의 활용이 크게 증가한 이후 학계의 전문가들과 관련 전문가 단체 등이 성명서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인공지능의 활용에 따른 부작용과 문제점에 대해 유엔도 인식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특히 지금껏 인공지능의 부작용 지적과 이에 따른 규제 요구가 일부 전문가 또는 관련 단체, 몇몇 국가에서 제기됐던 것과 달리 전 세계 국가가 회원국으로 가입된 UN에서 규제를 위한 논의 기구를 출범시켰다는 사실에서 인공지능 규제를 위한 보다 확실한 글로벌 가이드라인이 제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현재 관련 단체들과 전문가들의 규제 촉구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 문제점의 해결에 미온적인 기술 기업들의 행태를 미루어 볼 때 유엔에서 인공지능 규제를 위한 글로벌 가이드라인을 제정하는 경우에도 법적 또는 물리적 강제성이 수반되지 못할 경우 제재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뉴스드림]
관련기사
- [이슈분석] AI 그림자 막는다…'딥 페이크 제재' 칼 뽑아
- [이슈분석] EU, 인공지능 강력 규제 나선다
- [이슈분석] 무분별한 AI 사용…소비자 피해 부른다
- [이슈분석] ‘AI 부작용 규제 필요’…G20 회원국 한목소리
- [이슈분석] 대선 앞둔 美 정치권에도 'AI 규제 바람' 분다
- [이슈분석] "AI 안전보안에 사활"…美정부, 규제 칼 뽑았다
- [이슈분석] AI 대형 언어모델 살펴보니…사용자 원하는 '아첨 답변' 많아
- [이슈분석] AI 생성 딥페이크 허위 정보 우려…전 세계로 확산
- [이슈분석] "AI 사이버 보안 대책 만들자"…세계 각국이 뭉쳤다
- [이슈분석] "혁신이냐 vs 규제냐"…잘못된 이분법 AI 발전 '발목'
- [이슈분석] AI 규제 속도 빨라진다…EU ‘인공지능법’ 도입 합의
- [이슈추적] AI 부작용·위험성 규제, 유엔도 나섰다